SDD2022

How to Address Complex Security Challenges : Fostering International Solidarity

특별세션1

PKO 활동 환경 개선을 위한 국제사회 협력 방안

배경

오늘날 기후변화, 감염병, 사이버, 드론 등 새로운 비전통적 안보위협이 부상함에 따라, 국제사회에서는 분쟁의 예방과 평화 정착 및 유지에 대한 범지구적 연대와 협력적 대응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COVID-19 감염병 확산과 더불어 심화된 국가 간 양극화 현상으로 인해 도움이 필요한 곳이 늘어나고, 한정된 병력과 예산, 자원의 효율적 운용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엔의 평화유지활동(PKO) 영역에서 발생 가능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술 활용’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2021년, 대한민국은 아시아 최초로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를 개최하였고, PKO 선도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기술과 의료역량 강화’를 대주제로 선정하여 자산 공여, 훈련, 여성 PKO요원 역량 강화, 경찰 지원 등의 분야에 6대 기여공약을 제시하였다. 이 회의를 통해 다변화하고 있는 안보 환경하에서 유엔 평화유지활동의 효율화와 실질적인 진전방안이 논의되었다.

본 세션은 2021 서울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에서 제시된 기여공약을 참고하여, 1) 첨단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스마트캠프 구축을 위해 실현 가능한 기술과제들이 무엇이 있는지, 2) 해외 파병부대에서 여성 PKO 요원들의 참여를 통해 실제 역량이 강화되었던 사례들을 공유함으로써 여성 PKO 요원들의 참여율 제고 방안을 논의해보고, 3) 회원국 간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협력에 기반한 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하기 위한 삼각 파트너십 구축 방안에 대해서 논의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엔 평화유지활동의 안전성을 높이고 PKO 요원들의 임무 수행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